연봉협상 고려사항, 팁 및 거절 당하는 경우
임금협상을 하기 전에는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팁 및 거절당했을 때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임금협상은 회사의 지불능력과 근로자의 성과 및 기대치를 조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연봉협상 시 고려사항
협상 전에는 자신의 성과와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회사의 재정상황과 시장동향을 파악해야 합니다. 임금협상은 개별적으로 할 수도 있고, 노동조합이나 대표자를 통해 단체적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협상할 경우에는 자신의 역량과 가치를 강조하고, 단체적으로 협상할 경우에는 공동의 이익과 요구사항을 합리적으로 제시해야 합니다.
임금협상은 적절한 시기와 장소에서 진행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연봉협상 시즌은 12월 또는 3월이며, 회사의 성과가 좋을 때가 유리합니다. 또한 협상은 조용하고 비공개적인 공간에서 상대방과 대면하여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금협상을 할 때, 꿀팁
협상 전에는 자신이 원하는 임금과 최저한 받아들일 수 있는 임금을 정하고, 그 근거를 객관적인 자료와 수치로 준비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의 업무 성과, 업계 평균임금, 물가상승률, 경제성장률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협상 중에는 자신의 요구사항을 분명하고 적극적으로 표현하되, 상대방의 입장도 고려하며 존중해야 합니다. 너무 과도하거나 비현실적인 요구를 하면 협상이 깨질 수 있으므로, 타협의 여지를 남겨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협상 후에는 협상 결과를 서면으로 정리하고, 양측이 서명하거나 동의하는 방식으로 확정하기거나 협상 과정에서 상대방이 보여준 태도와 행동에 대해 감사를 표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입금협상 거절 당하는 경우
임금협상을 거절당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임금협상을 거절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회사의 재정상황이나 시장동향, 자신의 성과나 역량, 업계 평균임금 등을 근거로 임금 인상이 타당한지 판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임금협상을 거절하는 방식이 적절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너무 강경하거나 비협조적인 태도로 거절하면 회사와의 관계가 악화될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입장도 고려하고 존중하면서 거절의 이유와 근거를 분명하고 합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임금협상을 거절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예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회사는 임금협상을 거절하는 근로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를 해고하거나 징계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근로자는 해고예고수당이나 부당해고구제신청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에게 삭감된 임금만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근로자는 임금체불 진정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근로자와의 협상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근로자는 타협의 여지를 남겨두고, 회사와의 소통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임금협상을 거절당했을 경우에 대해서도 알려드렸습니다. 임금협상은 양측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므로, 서로의 입장과 요구사항을 존중하고 이해하면서 협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관련글 더 보기>
댓글